카테고리 없음

썩덩나무노린재

작음꽃동네 2022. 9. 13. 21:37

썩덩나무노린재
Halyomorpha halys Stål, 1855

노린재목 Hemiptera
노린재과 Pentatomidae
썩덩나무노린재속 Halyomorpha

2022.09.13. 부산시민공원


우엉, 운향과, 삼나무, 벚나무를 비롯한 수많은 식물을 기주로 하는 노린재과의 곤충으로, 1~12월에 관찰 가능하다. 12~18mm의 크기이고, 진한 밤색의 몸과 진한 색과 연한 색이 번갈아 있는 더듬이와 다리가 특징이다. 눈이 붉고, 머리는 길게 앞으로 나와 있다. 작은방패판의 위쪽 양 꼭짓점에는 작은 황갈색 점무늬가 있고, 배마디는 검은색과 황갈색 무늬로 구성되어 두 색이 번갈아 나타난다. 다리는 연갈색이다. 국내 모든 지역에서 발견할 수 있으며, 국외의 일본, 중국, 타이완, 미국에도 분포한다. 《국립생물자원관,2014 한반도생물자원포털》

썩덩나무는 썩은등나무의 줄임말
특히 제주도의 감귤나무 피해가 크다

썩덩나무노린재는 콩류, 과수 등 주요작물과 각종 관상수를 광범위하게 가해하는 광식성 해충으로 연간 1~2회 발생하며 제주도내 감귤원에는 주로 8~10월에 피해를 주는데 감귤원에 발생하는 노린재 중 가장 큰 피해를 주는 해충이다.
특히 썩덩나무노린재는 구침으로 과실의 즙액을 흡즙해 가해하는데 착색 전에는 낙과를 유발하며 착색 후에도 과피에 흑색~갈색의 반점이 생기거나 과육 부분이 스폰지화 되어 품질저하와 유통 시 리콜 발생의 원인이 되고 있다. 《제주교통복지신문 2019.06.18.》